한쪽 서평

나무의 마음 나무의 생명

양화 2006. 4. 13. 03:46

 

니시오카 츠네카츠 지음/최성현 옮김/삼신각/190면/1996

나무에게 생명이 있다는 건 누구나 아는 것이지만, 마음이 있다고? 고개를 갸우뚱할 만합니다. 우리보다 한 세대 전의 세월을 살았던 일본의 궁목수 니시오카 츠네카츠는 나무의 마음에 귀기울입니다. 그리고 나무의 생명을 귀하게 여깁니다. 먼저 읽었던 ‘목수일기’의 저자도 말했듯 목수는 목수라서 더 낫거나 모자라지 않은 그냥 나무를 매개로 살아가는 사람일 뿐입니다. 그래서 목수의 삶에는 누구에게나 있는 삶의 진리가 있습니다.

그가 돌보고 있는 법륭사라는 건물은 무려 1300년이나 된 건물입니다. 그 건물을 돌보게 되기까지 그는 아주 긴 세월을 스승 밑에서 수련을 거듭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은 단순히 더 똑바르게 나무를 깎거나 더 빨리 일을 해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가령, 나무 하나를 쓰더라도 산으로 가서 그 나무가 어떤 곳에서 자랐는지를 알아 쓰는 것을 배우는 겁니다. 자란 장소에 따라 다른 마음을 갖게 된 나무들은 쓰이는 곳도 달라야 하니까요.

기술이 좋아져 아무리 모양이 험악하게 뒤틀린 나무라도 몇 분 안에 반듯하게 잘라 나오는 오늘날에도 그런 것이 필요한 것이냐고 누군가는 물을지 모릅니다. 이 바쁜 시대에 나무가 나고 자란 산까지 가는 건 시간 낭비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목수는 말합니다. 나무의 성질은 언젠가 반드시 나타난다고요. 무른 나무는 무른 나무대로, 단단한 나무는 단단한 나무대로 본래 갖고 있던 것을 드러내 엉뚱한 자리의 나무들은 고통을 겪는다고요.

목수는 한 발 더 나아갑니다. 무른 것에게는 어떤 역할을 줄 건지, 단단한 나무는 어느 곳에 두어야 하는지, 뒤틀린 나무는 또 어디에 기가 막히게 잘 맞는지, 곧은 나무는 어디에서 제 곧음을 더 잘 발휘하는지 알아봅니다. 그러니 거기에 나쁜 나무, 좋은 나무란 없는 것이지요. 가만히 주위를 둘러봅니다. 거기 사람들 산이 있고, 사람 나무가 있습니다. 그들 가운데 누가 좋은 사람이고, 누가 나쁜 사람입니까?

'한쪽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물이란 무엇인가  (0) 2006.04.17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0) 2006.04.13
목수일기  (0) 2006.04.13
생의 이면  (0) 2006.04.13
강석경의 경주산책  (0) 2006.04.13